오피니언/칼럼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현대경제연구원 ‘싱글족(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기사입력  2015/08/17 [18:30]   유달신문 편집국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주평’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개요

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1인가구는 2000년 226만 가구(전체가구 대비 15.6%)에서 2015년 506만 가구(26.5%)로 급증하였고, 2035년에는 763만 가구(34.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1인가구는 2인 이상 가구에 비해 저소득층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1인가구의 저소득층 비중은 45.1%를 차지하는 반면, 2인 이상 가구는 10.9%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층의 비중이 높은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을 소득-지출 구조, 고용 구조 및 주거 조건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인가구를 연령대별로 세분화 하여 각각의 경제적 특성들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된다.

싱글족(1인가구)의 인구통계적 특성

첫째, 60대 이상의 고령층을 중심으로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1인가구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5년 현재 34.0%로 가장 높고, 20대(16.9%), 30대(17.3%), 40대(14.5%), 50대(16.1%)는 이에 크게 못 미친다. 둘째, 미혼 및 이혼으로 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미혼 1인가구는 2000~2010년 동안 연평균 6.8% 증가하였고, 이혼 1인가구는 같은 기간 연평균 9.8% 증가하였다. 셋째, 여성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1인가구 중 여성의 비중이 2010년 66.1%에서 2014년 69.0%로 상승하였고, 남성의 비중은 33.9%에서 31.0%로 하락하였다. 넷째, 여성 1인가구의 증가세가 20·30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0·50대와 60대 이상의 경우 1인가구 중 여성의 비중이 축소되는 반면, 20·30대는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싱글족(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

(1인가구의 소득-지출 구조) 60대 이상 1인가구는 미래 수입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소비성향이 축소되고 있다. 전체 1인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상승하였으나 60대 이상 1인가구는 하락했다. 다른 연령대의 경우 소득 증가폭보다 소비 증가폭이 더 크지만, 60대 이상 1인가구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아 평균소비성향이 축소되었다. 60대 이상 1인가구의 소비성향이 하락한 이유는 경기침체 지속과 이에 따른 고용불안으로 미래 안정적인 수입 확보가 불확실하여 비록 소득이 늘어도 소비를 경직적으로 지출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60대 이상 1인가구는 엥겔계수(식료품 지출 비중)와 슈바베계수(주거비 지출 비중)가 가장 높고,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 즉, 가처분소득이 작아 필수재적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비활동이 위축되는 것으로 보인다.

(1인가구의 고용 구조) 60대 이상 1인가구의 근로안정성이 가장 취약하다. 60대 이상 1인가구는 다른 연령대 1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업비중이 현격히 낮다. 취업한 경우에도, 60대 이상의 1인가구는 근로안정성에서 다른 연령대 1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띄고 있다. 한편, 20·30대 1인가구는 전문직·사무직에, 60대 이상 1인가구는 단순노무직에 가장 높은 비중으로 분포하고 있다.

(1인가구의 주거 조건) 1인가구가 2인 이상 가구에 비해 월세 의존도가 현저히 높고, 특히 20·30대 1인가구의 주거불안이 심각하다. 1인가구의 주택소유비중은 52.0%로, 2인 이상 가구 71.8%를 크게 하회한다. 특히 20·30대 1인가구는 주택소유비중은 23.8%로 가장 낮다. 20·30대 1인가구의 전월세 보증금 부담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되고 있고, 월세임차료 지출 규모도 다른 연령대보다 크다.

시사점

첫째, 장기적으로 인구구조 뿐만 아니라 가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는 주택·복지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고령층 1인가구의 근로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재취업 일자리 및 공공근로사업 등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주거불안이 높은 20·30대 1인가구의 정주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업측면에서도 1인가구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의 개발·보급을 통해 가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는 소비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 iyudal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